기사 메일전송

제1124회 로또복권 추첨 당첨번호는 ‘3, 8, 17, 30, 33, 34’

  • 이현수 기자
  • 등록 2024-06-15 22:17:01

기사수정
  • 보너스 번호는 '28'
  • 1등 당첨자는 10명(자동 5명, 수동 4명, 반자동 1명)
  • 1등은 각 26억2332만 원씩
로또1124회의 당첨번호 6개를 모두 맞힌 1등 당첨자는 10명(자동 5명, 수동 4명, 반자동 1명), 당첨번호 5개와 보너스 번호가 일치한 2등은 87명으로 집계되었다.

[뉴스브런치(NewsBrunch)=이현수 ]


제1124회 로또복권 추첨 당첨번호는 ‘3, 8, 17, 30, 33, 34’


15일 진행된 제1124회 로또복권 추첨 당첨번호는  ‘3, 8, 17, 30, 33, 34’ (30->17->34->8->33->3 순으로 출현)이며, 보너스 번호는 '28'이다.


1124회 로또 1등 10명 15일 동행복권 추첨 결과에 따르면 1124회 로또당첨번호 조회 1등 당첨 10명 중 5명은 자동, 4명은 수동, 1명은 반자동으로 구매했다. / 동행복권 캡처


로또1124회의 당첨번호 6개를 모두 맞힌 1등 당첨자는 10명(자동 5명, 수동 4명, 반자동 1명), 당첨번호 5개와 보너스 번호가 일치한 2등은 87명으로 집계되었다. 


  • 로또1124회의 총판매금액은 112,014,841,000원이며, 1등은 각 26억2332만 원씩, 2등은 각각 5025만 원씩의 당첨금을 받는다.

또한, 3등인 5개를 맞힌 이들은 3,123게임이며 140만 원씩을 받게 된다. 

고정 당첨금 5만 원 받는 로또 1124회 당첨번호 4개를 맞힌 4등은 15만8630게임이며, 고정 당첨금 5000원 받는 로또 1124회 당첨번호 3개가 일치한 5등은 261만9643게임이다.


1124회 로또 1등 10곳 1일 동행복권 추첨 결과에 따르면 1124회 로또당첨번호 조회 1등 당첨지역은 서울1, 인터넷복권판매사이트1, 인천1, 경기4, 강원1, 충북1, 충남1곳에서 나왔다. / 동행복권 캡처


1등 당첨자가 나온 판매 지역은 서울 1곳, 인터넷복권판매사이트 1곳, 인천 1곳, 경기 4곳, 강원 1곳, 충북 1곳, 충남 1곳으로 밝혀졌다.

 

동행복권 로또 당첨번호 조회 결과 당첨금 지급기한은 지급개시일로부터 1년 이내에, 수령해야 하며, 지급기한이 휴일인 경우 익영업일까지 수령해야 한다.

지급기한이 지난 당첨금은 복권 및 복권기금법에 따라 전액 복권기금으로 귀속되어 저소득층을 위한 주거안정지원사업, 장학사업, 문화재 보호 사업 등 다양한 공익사업에 쓰인다.

관련기사
TAG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포토뉴스더보기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최신뉴스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제1122회 로또복권 추첨 당첨번호는 ‘3, 6, 21, 30, 34, 35’ 로또1122회의 총판매금액은 115,540,004,000원이며, 1등은 각 25억5626만 원씩, 2등은 각각 4733만 원씩의 당첨금을 받는다. 또한, 3등인 5개를 맞힌 이들은 2,932게임이며 159만 원씩을 받게 된다. 고정 당첨금 5만 원 받는 로또 1122회 당첨번호 4개를 맞힌 4등은 15만1473게임이며, 고정 당첨금 5000원 받는 로또 1122회 당첨번호 3개가 일치한 5등은 254만0890...
  2. 규제의 역설: 로베스피에르의 우유 사례와 한국 부동산 시장 이미지 : 뉴스브런치 지난 17일 주택산업연구원(주산연)은 한국 부동산 업계에서 주택 공급 부족에 따른 가격 급등 우려를 제기했다. 주산연에 따르면, 2022년 이후 주택 공급 부족이 누적되면서 올해까지 약 47만 호의 주택이 부족할 것으로 추산된다. 주택산업연구원은 지...
  3. 전세사기 여파로 비아파트 시장 위기: 서울시 주거 안정 대책 필요 사진 : 뉴스브런치 전세사기 이슈로 인해 서울시 비아파트 시장이 심각한 타격을 받고 있다. 특히 오피스텔과 신축 빌라, 도시형 생활주택 등 비아파트의 공급이 거의 중단된 상태다. 이로 인해 서민 주거 안정 정책에도 큰 차...
  4. 주택 착공 실적 감소와 분양가 상승의 불가피성: 건설 현장의 현실 2021년을 기점으로 주택 착공 실적이 꾸준히 감소하면서, 분양가 상승이 불가피해지고 있다. 코로나19,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고금리 장기화 등으로 인해 국내 건설시장이 침체기를 겪고 있는 가운데, 특히 역세권 단지의 청약 경쟁률이 높아지면서 이러한 현상이 더욱 두드러지고 있다.  공급 부족에 따른 희소성 증가  2023년 전국 ...
  5. 갭투자와 전월세 시장 안정, 절충안 모색 필요 최근 전월세 시장의 불안정성이 커지면서 갭투자에 대한 논란이 뜨겁다. 갭투자가 활성화되면 전월세 시장이 안정될 수 있다는 긍정적인 시각과, 오히려 시장을 불안정하게 만들 수 있다는 부정적인 시각이 대립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전문가들은 갭투자의 장점을 살리면서도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절충안을 모색하고 있다.  첫 번.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